심리학수업[psychology]

심리학 개론

Ailine 2022. 2. 25. 21:12
728x90
반응형

1.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심리학은 인간과 동물의 행동 및 그 행동에 관련된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다.

즉, 개인의 심리적 과정뿐 아니라 신체기능을 제어하는 생리적 과정, 그리고 개인과 개인 간의 관계와 사회적 과정까지 심리학의 연구대상이 된다. 

여기서의 행동은 두뇌에서 이루어지는 내적인 행동과 신체 움직임으로 나타나는 외적인 행동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정상적 행동과 비정상적 행동들도 모두 포함한다.

 

2.오늘날 심리학의 5대 관점

 1) 생물학적 접근

우리의 사고, 꿈 및 정신 이미지 등은 신경계, 그중에서도 중추적 역할을 하는 뇌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이 심리학자들의 가정이다.

예를 들어, 줄담배를 피우는 행동을 이해하고자 하면 그가 어떻게 니코틴에 중독되었는가를  연구하게 된다.그리하여 여러 가지 생물학적 요인 (ex. 유전, 두뇌에서의 전기적, 화학적 활동, 호르몬의 활동 등 ) 이 그의 정신과정 및 담배 피우는 행동에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가를 조사하게 된다.

 2)인지적 접근 

인지적 접근을 취하는 심리학자들은 정신과정에 연구의 초점을 둔다. 우리가 보통 마음이라 부르는 것들(ex. 지각,기억,사고,판단,의사결정 등 ) 을 연구한다. 즉, 인간의 두뇌가 어떻게 정보를 받아들여 처리하고 특정의 행동유형을 만들어 내는가를 연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줄담배를 피우는 사람을 인지적 관점에서 보면, 그의 행동은 담배 피우는 데서 오는 위험을 크게 평가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인지적 관점을 크게 둘로 나누면 스위스의 피아제 (Jean Piaget, 1896-1980)에 의해 발전된 인지발달이론이 그 하나고, 컴퓨터 과학의 영향을 받은 정보처리이론이 또 다른 하나다.

  2-1) 인지발달 이론

피아제가 어린이들의 지적 발달(인지적 발달)에 대해 보여 준 혁신적 연구는 발달 심리학자와 교육심리학자들을 자극하여 이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게 했다. 어린이는 성인의 축소판이 아닌 나름대로의 발달과정을 가지며, 단계별로 발달 과제를 완수해 가면서 지적인 성장을 한다는 사실에 연구의 초점을 두게 되었다.

 2-2) 정보처리 이론

인간을 컴퓨터에 비유한다면 인간의 기억에도 장기기억과 단기기억이 있다. 그러므로 많은 인지심리학자는 인간이 수행하는 정보처리를 컴퓨터에 비유해이해하고자 한다. 즉, 정보의 입력, 저장 , 인줄, 문제해결을 위한 처리, 그리고 문제해결로 이어지는 과정이 바로 정보처리이론가들이 연구하는 인간의 정보처리과정이다.

 3)행동적 접근 

왓슨(J. B. Watson, 1878-1958)은 심리학의 초기에서부터 정착되어 온 인지적 접근을 거부 하였다.

실험실에서의  측정 또는 정신과정의 측정하지 않기로 작정하였을 뿐 아니라, 일상생활의 모든 것을 이해하는 데 행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행동적 접근에서는 어떤 사람이 '무엇을' 알게 되었는가를 보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무엇이, 즉 어떤 외적인 절차가 그를 그렇게 행동하도록 조건화 시켰는가를 보고자 한다. 

예를 들어, 담배 피우기는 조건화(conditioning)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조건화는 두 개의 자극이나 사태(event)가 함께 제시되거나 연결되는 것을 의미하는 심리학적 용어다. 어릴 때 주위에서 존경받는 어른들이 담배를 피우는 것을 보거나 영화에서 멋있는 배우가 그럴듯한 장면에서 담배를 피우는 것을 보고 성장하는 경우를 보자, 이때 '담배 피우기' 라는 중립적 자극이 존경이나 멋이라고 하는 부조건적인 호의적 자극에 연결되도록 조건화되어 담배 피우기에 대한 호의적 태도가 형성된것이라고 볼 수 있다. 조건화에 의해서 행동이나 태도가 습득이 되면 행동적 접근에서는 이를 '학습'되었다고 한다.

왓슨이 중릭접 자극을 자연상태에서의 중요한 자극에 연결시켜 특정 반응의 바생확률을 변화시키는 고전적 조건화의 연구에 기여하였다면, 스키너(B. F. Skinner, 1904-1990)은 특정 반응에 대한 결과로서 보상이나 처벌 등을 제시함으로써 결과에 따라서 작동하는 반응의 발생확률을 변화시키는 작동적 조건화의 연구에 기여하였다.

 

4)정신분석적 접근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볼 때 비정상적인 행동이나 문제행동은 과거에 갈등이 불만스럽게 해결되었거나 해결에 실패한 것을 나타낸다.

담배피우기 역시 무의식적 갈등의 상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피우기는 응석 부리는 어린이로 있고 싶은 바람과 독립적인 성인이 되고 싶은 바람 사이의 갈등일 수 있다. 

 

5) 인본주의적 접근

인본주의 심리학은 인지적 접근의 분위기를 강하게 풍기는 보다 나중에 형성된 관점이다. 이들은 의식과 자기인식을 강조하므로 현상학적 관점으로 불리기도 한다. 개인의 경험을 가장 중요한 연구대상으로 한다.

전적으로 우리에게 행동의 선택권이 있는가 또는 외부 요소가 우리의 행동을 결정하는가에 대해서 행동주의적 접근은 후자의 관점이지만 

로저스(Carl Rogers, 1902-1987)와 매슬로(Abraham Maslow, 1916-1972)같은 인본주의자들은 전자의 관점을 취한다. 

인본주의적 관점에 따르면 모든 행동은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개인의 능력에 달려 있다고 본다. 이러한 선택은 각 개인이 세상을 어떻게 자각하는가에 달려 있다. 예컨데 당신이 세상을 호의적으로 보고 있다면 당신은 행복감을 느낄 것이고 세상을 위험하고 적대적인 것으로 본다면 당신은 방어적 태도를 가지며, 불안해 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