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심리검사의 요건
심리검사는 인간행동 표본을 평가하는 표준화된 측정도구로서 사람들의 지능, 적성, 흥미, 성격의 개인차를 측정하는 데 이용된다. 그러나 수검자가 심리검사에서 보인 반응은 수검자의 전체 행동 중에서 일부 표본에 해당한다. 바로 이 점이 심리검사가 안고 있는 한계다. 심리검사는 환경부가 한강, 영산강, 낙동강의 수질검사를 하기 위해서 소량의 강물을 채취(표집)한다. 강물 전체를 검사할 수 없듯이 인간의 모든 행동을 검사할 수는 없다. 채취된 소량의 강물이 강물 전체를 대표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는 것처럼 표본행동도 사람들의 전체적인 행동 특징을 나타내지 못할 가능성이 항상 존재한다. 따라서 심리검사의 결과는 반드시 주의를 기울여 해석해야 한다.
1)표준화와 규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심리검사는 행동에 대한 표준화된 측정도구다. 표준화(standardization)란 검사의 실시와 채점에 동일한 절차를 사용함을 의미한다. 모든 수검자에게 동일한 지시, 동일한 질문, 동일한 시간을 부여한다. 따라서 이러한 절차를 통해 얻은 점수들의 비교는 의미가 있다. 예를 들어, 대입수학능력시험을 서울에서 본 학생이든 광주, 부산, 대전, 강릉 등 여타 지역에서 본 학생이든 이들 모두는 동일한 검사 내용과 동일한 검사절차를 따르게 된다.
검사의 표준화에서는 검사점수의 체계화를 위한 검사규준의 개발이 포함된다. 규준(nom)은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도록 선정된 사람들의 대표본, 즉 표준화 집단(standardization group)에 검사를 실시하여 구성된다. 검사규준은 심리검사에서 특정 개인의 점수가 다른 사람의 검사점수와 비교하여 어느 곳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알려 준다. 심리검사에서 규준이 필요한 이유는 심리검사 점수를 상대적으로 해석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키나 몸무게와 같은 물리적인 변인의 개별 측정값은 그 자체로 절대적인 의미가 있으므로 다른 사람들의 키나 몸무게 값이 없어도 해석이 가능하다. 그러나 성취검사를 제외한 모든 심리검사는 개개의 점수만으로는 그 점수의 의미를 찾을 수 없다. 이는 심리적 속성에 대한 절대영점의 상태를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심리적 속성은 측정값을 상대적으로 해석하여 의미를 찾는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창조성 면에서 평균수준이다.' '사무능력 면에서 평균을 조금 넘는 수준이다.' 혹은 '불안 측면에서 극도로 평균 이하다.'와 같은 방식으로, 획득한 원점수를 해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해석은 검사규준을 바탕으로 나온 것으로, 검사규준은 검사점수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검사규준을 정하는 한 예로 백분위 점수를 들 수 있다. 검사에서 받은 원점수를 가지고 점수 아래의 점수를 받은 사람들을 백분율로 바꾸어 백분위 점수로 환산한다. 만일 40개 항목의 공격성을 재는 검사에서 26점이라는 원점수를 받았다고 가정해 보자. 즉, 26점이라는 점수는 검사규준을 참조하여, 가령 백분위 점수 82에 해당한다는 것을 알기 전까지는 무의미한 것이다.
2)신뢰도
체중계, 초시계 등 모든 측정도구가 반드시 일관성이 있어야 하듯이 심리검사 역시 측정도구로서 일관성을 지녀야 한다. 이는 반복측정에서 항상 동일한 결과가 나와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을 심리학에서는 신뢰도(reliability)라고 부른다. 만일 동일한 사람이 체중계에 오를 때마다 매번 다른 수치를 얻는다면 그 체중계느 신뢰성이 없는 측정도구이다. 이와 같이 일관성을 정확한 측정의 핵심이다.
3) 타당도
검사에서 매번 똑같은 점수를 얻는다고 해서 그 검사로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정확히 측정하고 있다고 말할 수는 없다. 검사가 측정하려는 것을 측정하는 정도를 타당도(validity)라고 한다. 신뢰도는 타당도의 필요조건이긴 하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다. 지능을 재는 지능검사를 개발한다면 개발된 검사가 정말 지능을 측정하고 있다는 증거를 제시해야 한다. 키나 몸무게와 같은 물리적인 개념과는 달리 지능 같은 심리적 개념은 정의하기도 어렵고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도 없기 때문에 심리적 개념을 측정하고자 하는 척도가 의도하는 개념을 제대로 측정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일은 쉽지 않다. 따라서 타당도의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타당도는 검사의 내용과 용도에 따라 추정방법을 크게 세 가지로 구별할 수 있다.
(1)내용 타당도
다룩자 하는 영역을 검사의 내용이 대표하고 있는 정도를 나타낸다.
(2)준거관련 타당도)
검사점수와 에측되는 준거간의 상관계수를 구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다.
(3)구성 타당도
검사가 특정한 가설적 구성개념을 측정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구성 타당도를 확립하기 위한 과정은 여러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단계는 검사의 내적 구조가 측정하려고 하는 개념에 대한 이론에 부합되는지 알아보는 단계다. 두 번째 단계로는 측정하려는 구성개념과 외적 준거에 대한 이론이 실제 자료와 합치되어야 한다.
댓글